서울의 한 백화점 식품코너 직원들이 식용꽃들을 선보이고 있다.(자료사진)
"식용꽃, 꽃술은 반드시 제거하고 드세요"
(서울=연합뉴스) 김지수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일 화려한 색과 은은한 향기로 입맛을 돋우는 식용 꽃의 종류와 올바른 섭취방법을 소개했다.
꽃요리는 비타민, 아미노산,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성분을 제공하고 꽃잎의 화려한 색과 고유의 향기로 식욕을 자극해 입맛을 돋우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식용 가능한 꽃으로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진달래, 국화, 아카시아, 동백, 호박, 매화 등이 있으며 서양이 원산지인 베고니아, 팬지, 장미, 제라늄, 자스민 등도 꽃요리에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진달래는 화전에, 국화와 아카시아꽃은 꽃잎차나 꽃술로, 호박꽃, 매화 등은 떡에 많이 사용돼 왔다. 최근에는 비빔밥, 쌈밥, 샐러드, 튀김 등 다양한 형태의 꽃요리가 개발돼 이용되고 있다.
꽃을 식용으로 먹을 때에는 반드시 암술, 수술, 꽃받침은 제거해야 한다.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진달래는 수술에 약한 독성이 있어 반드시 꽃술을 제거하고 꽃잎만 섭취해야 한다.
철쭉꽃에는 그레이아노톡신이라는 독성 물질이 있기 때문에 절대 먹어서는 안되며 진달래와 혼동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꽃으로 만드는 술은 주로 봄철에 피는 진달래, 매화, 아카시아 꽃과 가을철에 피는 국화꽃이 주로 사용된다. 천연재료만 들어가는 담금주를 만들 때에는 갓 피었거나 반쯤 피어난 꽃잎만 떼어 알코올도수가 25도 이상 되는 담금주 전용 술로 꽃 양의 3∼4배 분량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식용 꽃의 올바른 섭취방법 등은 홈페이지(http://www.kf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2/03/20 09:35 송고